현대 미술, 미학에 낚이다 _ 현대 미술의 지형을 살피기 위한 지도그리기(Mapping)
담당교수 최연희 서울대 미학과 강사
개강일시 1/15~ 매주 화요일 오전 10:30 8강 8만원
현대 미술은, 그 이전의 미술과 달리, 하나의 역사적 양식(style)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또한 지속적으로 변모함으로써, 복잡하고도 난해한 전개 양상을 보여왔다. 따라서 전통적인 미술 개념으로는 현대 미술을 이해할 수가 없으며, 그렇다고 어떤 하나의 새로운 개념이 현대 미술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 까닭에 우리는 현대 미술을 접할 때면 자주 “도대체 이런 것도 미술이야?”라는 물음을 던지게 되곤 한다. 이 강좌는 이처럼 복잡다단한 현대 미술의 지형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해서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미학적 개념 틀(frame)을 통해 현대 미술의 역사적 흐름에 대한 지도그리기를 시도하려고 한다.
1강 현대 미술의 새로움 현대 미술은 그 이전의 미술과 무엇이 다른가(1/15)
2강 현대 미술의 기점과 계보 역사적 모더니티와 미적 모더니티(1/22)
3강 모더니즘 개념과 현대 미술(1) 후기인상주의와 입체파(1/29)
4강 모더니즘 개념과 현대 미술(2) 야수파와 표현주의(2/5)
5강 아방가르드 개념과 현대 미술(1) 미래주의와 구축주의(2/12)
6강 아방가르드 개념과 현대 미술(2)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2/19)
7강 포스트모더니즘 개념과 현대 미술(1) 팝아트와 미니멀리즘(2/26)
8강 포스트모더니즘 개념과 현대 미술(2) 1970년대 이후의 다원주의적 미술(3/4)
교재 및 참고문헌
N. Lynton, 윤난지 역, 20세기의 미술, 예경
N. Stangos ed, 성완경 외 역, 현대 미술의 개념, 문예출판사
M. Calinescu, 이영욱 외 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M. Staniszewski, 박모 역,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현실문화연구
문의
WWW.MYACADEMY.ORG
02-739-68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