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학술대회안내
▪ 제28회 전국학술대회 2018년 4월
주제 : 미술과 축제
일시 : 2018. 04. 28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
발표 : 김혜진 (한국외국어대학교) : 고대 아테네의 축제와 예술 후원: 리시크라테스(Lysikrates) 기념물을 중심으로
정미연 (국립중앙박물관) : ‘행렬(行列)’과 ‘난투(亂鬪)’ : 傳 가노 산라쿠(狩野山樂) 필 <차쟁 도병풍(車爭圖屛風)>에 나타난 일본근세초기 제례도의 유락(遊樂)적 요소
최선아 (한국외국어대학교) : 수르나메이 베흐비(Sûrname-i Vehbi)로 읽는 오스만 제국 축제의 사회적 기능
유재빈 (홍익대학교) : 19세기 왕실 잔치의 기록과 정치-효명세자와 <己丑進饌圖>(1829)를 중심으로
손수연 (목원대학교) : 축제와 사회 : 보쉬, 브뢰헐 판화의 카니발
정명희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시대 불교의례와 그 시각적 재현
▪ 제 56회 추계학술발표회 2018년 4월
일시 : 2018. 04. 28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
발표 : 김송림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 1910~40년대 상하이(上海) 인쇄미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연구
최세연 (홍익대학교) : 《아모리 쇼》(1913)를 통해 본 모던 아트에 대한 미국의 혼란과 문화 적 차이
이정은 (영국세인즈베리 일본예술연구소) : 아시카가의 문화적 권위와 군다이칸소초키(君臺 観左右帳記) 제작의 의미
정하윤 (이화여자대학교) : 상상 속 실체: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분단 이미지
▪ 제 55회 추계학술발표회 2017년 11월
일시 : 2017. 11. 18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제1강의실
발표 : 구혜림(홍익대학교) : 피터 산레담의 위트레흐트 마리아 교회 그림 연구
이경화(서울대학교) : 중국과 조선에서 그린 이광정 초상: 제작 배경과 초상화 인식을 중심으로
심경보(고려대학교) : 조선후기 노론계 深衣肖像의 형성과 계승
이은영(덕성여자대학교) : 조선후기 연행사가 본 천주당의 서양미술품
김혜진(한국외국어대학교) : 또 하나의 아크로폴리스. 신 아크로폴리스박물관의 건축 구조와 전시 맥락 연구
▪ 제27회 전국학술대회 2017년 5월
주제 : 만들어진 미술사
일시 : 2017. 5. 27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
발표 : 이미경(이화여자대학교) : 브로드웨이에서 로열 아카데미까지: 에드윈 어스틴 애비의 영국 미술 수용 과정 연구
이승현(세화예술문화재단) : 인상주의와 현대 미술시장의 형성
송진충(한국학중앙연구원) :雪峰 金義信 書藝 硏究
임남수(영남대학교) : 성(聖)과 속(俗)의 기념물 만들기 : 일본 3대 불상의 조성배경
김연미(이화여자대학교) : 불복장 의복 봉안의 의미 : 상원사 문수동자상의 저고리와 전설을 중심으로
이희관(전 호림박물관) : 왜곡된 汝窯瓷器像과 그 所産 : 남송~건륭시기 汝窯瓷器의 실체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 여요자기의 流傳
장보영(럿거스 뉴저지 주립대학교) : 불확실한 기록 : 동시대 사진은 어떻게 사건을 기술하는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전국학술대회
일시 : 2016. 10. 8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관 B동 B153
발표 : 노중국 (계명대학교)
임경희 (문화재청) : 한국의 세계유산등재 정책과 활용방안
오영찬 (이화여자대학교) : 세계문화유산 교육의 새로운 시도: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장경희 (한서대학교) : 조선왕릉과 종묘의 복원과 활용
구하원 (서울대학교) : 불안한 왕좌:타지마할과 인도이슬람 미술에 대한 현대의 인식
한동수 (한양대학교) : 세계유산을 기반으로 한 고궁학의 형성과 그 교훈
유용욱 (충남대학교) : 미주지역의 세계문화유산 현황
신상철 (고려대학교) : 프랑스 문화재 보호정책의 역사와 세계문화유산 등재 제도의 의미
▪ 제 54회 춘계학술발표회 2016년 4월
일시 : 2016. 4. 16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제2강의실
발표 : 박웅준(고려대학교) : 의식과 신성화: 중국 남북조시대 불상에 보이는 향로도상의 기원과 의미
편지혜(국립중앙박물관) : 18∼20世紀 中國 輸出畵 硏究: 風俗畵帖을 중심으로
안소영(홍익대학교) : 피터 브뢰헐의 <농부들의 결혼 연회>에 나타난 이상적인 결혼과 삶
강은주(이화여자대학교) : 그룹 전시에 나타난 영국 인디펜던트 그룹의 사회적 소통에 대한 제언
곽희원(국립고궁박물관) : 조선후기 제향확산과 명문백자
김경연(명지대학교) : 한국현대동양화의 추상 경향과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1970년대 국전 동양화 비구상부문을 중심으로
전한호(경희사이버대학교) : <어울리지 않는 연인들>:15세기 북유럽 미술의 토포스
송윤지(이화여자대학교) : 제4집단의 퍼포먼스:범장르적 예술운동의 서막
조현정(카이스트) : 3.11 이후의 일본 건축:구호건축에서 미래주거의 모델로
신상철(고려대학교) : 18세기 예수회 선교사를 통한 중국과 프랑스 왕실 간의 미술교류 역사 고찰
▪ 제 53회 추계학술발표회 2015년 11월
일시 : 2015. 11. 28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제2강의실
발표 : 김지혜(한국미술연구소) : ‘ 반도의 비너스’, 근대기 미인대회로 본 미인 이미지
정창미(명지대학교) :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참여미술 속 풍자와 은유: - 2005년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지원(국립중앙박물관) : 19세기 朝鮮 寫意花卉畵의 樣相: 모란도와 연화도를 중심으로
이송란(덕성여자대학교): 송대 금은기의 사용 양상과 사회적 의미: 四川 彭州▪ 藏 金銀器를 중심으로
김혜정(가재울미술사연구소) : 한양도성 내에서 출토된 15~16세기 청화백자의 성격: 서울 종로구 청진동 출토품을 중심으로
오경은(상명대학교): 이미지 합성기와 악기 사이: 백-아베 신디사이저(Paik-Abe Synthesizer)
▪ 제 25회 전국학술대회 2015년 5월
일시 : 2015. 05. 09
장소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멀티 프로젝트 홀
기조강연 : 김은영(국립현대미술관) : 미술사와 미술비평 그리고 미술관 최 열(미술평론가) : 미술사학과 비평
발표 : 박효은(덕성여자대학교) : 개인의 취향(趣向)을 외치다: 18세기 한국의 회화비평과 이주현
김호근(명지대학교): 렘브란트의 유다와 콘스탄테인 하우헨스
이용진(국립중앙박물관) : 송대 공예 비평서들과 감식안
전동호(이화여자대학교) : 근대 유럽의 공공전시와 미술비평
강수미(동덕여자대학교) : 컨템포러리 아트의 융합 과/또는 상호학제성 비판
진휘연(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 단색화 논쟁을 둘러싼 비평의 내외관계
▪ 제 52회 춘계학술발표회 2015년 4월
일시 : 2015. 04. 11
장소 :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관 119호
발표 : 이승혜(삼성미술관 리움) : 지하의 정토: 영파 천봉탑 출토 지궁전(地宮殿) 연구
문현린(홍익대학교) : 안드레아 만테냐의 <카이사르의 개선식>과 르네상스 군주정의 정치이념
하은미(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진설도(陳設圖)>와 고종대의 왕실 제례 연구
우현정 (한국예술종합학교) : 영국 국립디자인학교 발전과정 연구- 헨리 콜과 사우스 켄싱턴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이주현 (명지대학교) : 한국전쟁기 북한을 방문한 중국화가들
▪ 제 24회 전국학술대회 2014년 5월
일시: 2014년 5월 10일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주제 : 2014. 05. 10 제 24회 전국학술대회
기조강연 : 조인수(한국예술종합학교) : 미술사에서의 독창성 : 창조와 모방, 그리고 기묘함 김윤정(한국과학장의재단) : 창조시대 창의교육
발표 : 전한호(경희사이버대학교) : <바쿠스>-미켈란젤로적 조각의 시작
송은석(동국대학교) : 조선 후기 불교조각의 독창성
김윤정(용인대학교) : 고려청자 문양의 詩·畵적 요소와 도상의 독창성
조은정(목포대학교) : ‘그 누구의 제자도 아닌’ 리시포스의 사례를 통해서 본
고대 그리스 조각의 개인 양식과 비평적 관점들
김은경(고려대학교) : 淸 擁正時期 洋彩의 含意와 特徵
우정아(포항공대) : 솔 르윗의 과 개념 미술의 오리지널리티
▪ 제 50회 춘계학술발표회 2014년 4월
일시 : 2014년 4월 12일
장소 : 덕성여대 차미리사관 119호
발표 : 전동호(이화여자대학교) : 18세기 영국귀족과 여배우 : 엘리자베스 파렌의 초상화
조시내(문화재청) : 대한제국기 황실 수입 기물의 특징과 의미
김영옥(한국학중앙연구원) : 歷代 君臣 사적을 그린 조선시대 王室 鑑戒畵
손수연(홍인대학교) : 네덜란드 장르화와 엠블럼 판화와의 융합-얀 라이켄(Jan Luyken)의 엠블럼집
신정훈(한국예술종합학교) : “예술의 환경화” - 1960년대 말 한국미술과 공간문화
▪ 제 49회 추계학술대회 2013년 10월
일시 : 2013. 10. 19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발표 : 김영주(명지대학교) : 조선시대 초상화의 족자 형식에 관한 연구
고경희(가톨릭대학교) : 高麗 靑瓷酒注子의 樣式 變遷 硏究
조인회(서울대학교) : 조선후기의 杜甫(712-770) 詩意圖
신상철(경희대학교) : 18세기 프랑스 미술에서 고전 취향의 부활과
위베르 로베르(Hubbert Robert)의 폐허(Ruines) 미학
김은지(홍익대학교) : 이미지와 자연과학적 입증 : 자연과학에서 생산하는 이미지의 과학적 입증능력과 시각적 주장
▪ 제23회 전국학술대회 2013년 5월
주제 : 미술과 음식문화
일시 : 2013년 5월 11일 (토) 10:00 ~ 18:00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발표 : 김정열 "'산 자를 위한 죽은 이의 그릇 -중국 상주시대 청동 예기의 성격과 그 변화" (질의:박대남)
이송란 "인도 쿠샨왕조 베그람 출토 유리기와 포도주"(질의:주경미)
김소희 "17세기 네덜란드 미술과 음식: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질의:손수연)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수와 제기 진설 고찰"(질의:최응천)
유옥경 "풍속화의 農繁期 들밥(▪ )과 술(酒)"(질의:송희경)
김승희 "감로도의 공양물"(질의:박은경)
조현정 "일본 도시락의 미학"(질의:우정아)
▪ 제48회 춘계학술발표회: 2013년 3월
일시 : 2013년 3월 16일 (토) 14:00 ~ 18:00
장소 :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시청각실
발표 : 백은정 "知恩院 소장 조선전기 <地藏十王18地獄圖> 연구“
김민호 "四象醫學을 통해 본 朝鮮時代 御眞 연구"
유순영 "인격화된 산수 : 吳派의 別號圖"
박경자 "고려말 상감청자의 양식과 조선초 인화분청사기의 의의"
▪ 제47회 추계학술발표회 2012년 10월
일시 : 2012년 10월 20일 (토) 14:00 ~ 18:00
장소 : 홍익대학교 조형관 E동 103호
발표 : 박나라보라 "한국 근대 故事▪ 道釋人物畵 연구”
손민경 "자크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을 통해 댄 그래험(Dan Graham)의 작품읽기"
오연주 "영조 시절, 겸재 정선 회화에 대한 화평"
김호정 "미의 탐구: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의 탐미주의 실내장식 작업과 동양미술의 수용"
최선일 “남원 선원사 木造地藏菩薩坐像과 조각승 元悟”
▪ 제22회 전국학술대회 2012년 5월
주제 : 미술의 길, 문화의 여정
일시 : 2012년 5월 12일 (토) 10:00 ~ 18:00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발표 : 김정락 "산티아고 델 콤포스텔라로 향하는 순례를 위한 미술: 11-12세기 순례교회의
건축유형과 장식"(질의:이한순)
정은주 "燕行에서 書畵 流入 경로와 구득 사례"(질의:권혜은)
김소희 "17세기 네덜란드 미술과 음식: 뿔피리를 부는 제빵사"(질의:손수연)
신광희 "明代 畵譜類 羅漢揷圖의 流傳: 圖像의 집성과 전파"(질의:최응천)
김이순 "한국 근현대 여성미술가의 세계여행: 나혜석, 천경자, 박래현을 중심으로" (질의:이혜원)
박병선 "죠반니 벨리니의 에 등장하는 명대 청화백자: 경덕진에서
이태리까지"(질의:이희관)
우정아 "조지 브레히트와 풀럭서스의 소통의 미학"(질의:정연심)
▪ 제46회 춘계학술발표회: 2012년 3월
일시 : 2012년 3월 17일 (토요일) 오후 2시 ~ 6시
장소 : 서강대학교 정하상관 311호 소강당
발표 : 김보영 "조선후기 미법산수도의 제작양상 연구"
김동현 "야스거 요른의 모디피케이션 회화 연구"
이주현 "구영의 회화와 소주편"
윤인복 "16-17세기 중국의 선교미술"
정은영 "마크 퀸의 <완전한 대리석상>(1999-2001) 해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타치바나 미치코 "와비 차(茶)의 미의식"(질의:장남원)
린리장 "환취당원경도(環翠堂園景圖)를 통해 본 왕정눌(汪廷訥)의 일상생활"(질의:문정희)
윤희경 "쿠르트 슈비터스의 '메르츠바우'에 나타난 균열된 일상의 기억"(질의:진휘연)
▪ 제45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 2011년 10월 22일 (토요일) 오후 2시 ~ 6시
장소 : 덕성여자대학교 운니동캠퍼스(운현궁) 평생교육원 D306호
발표 : 이경희 "로히어 판 데어 베이든의 <브라크 세폭화>와 중세 말 북유럽의 개인경배 문화"
이은하 "17세기 宗親 李健과 李涵의 花鳥畵 硏究"
최병진 "해석체계로서의 근대 박물관 공간의 발전사"
이혜원 " 아폴로, 비너스, 아그리파 : 루브르 석고 제작소와 동아시아 미술교육"
▪ 제1회 국제학술대회
주제 : 미술 속의 일상, 일상 속의 미술 (Art and Everyday Life)
일시 : 2011년 4월 30일 (토요일) 오전 9시 30분 ~ 오후 6시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발표 : 조은정 "'일과 날들': 아테네 장례 조형물에 묘사된 죽음과 일상"(질의:전한호)
임남수 "고대 한국 불전의 기능과 형식"(질의:정은우)
정병모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일상'의 표현과 그 의미"(질의:진준현)
타치바나 미치코 "와비 차(茶)의 미의식"(질의:장남원)
린리장 "환취당원경도(環翠堂園景圖)를 통해 본 왕정눌(汪廷訥)의 일상생활"(질의:문정희)
윤희경 "쿠르트 슈비터스의 '메르츠바우'에 나타난 균열된 일상의 기억"(질의:진휘연)
▪ 제44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 2011년 3월 19일 (토요일) 오후 1시 ~ 5시 40분
장소 : 홍익대학교 정보통신센터 (Q동 501호) 국제회의실
발표 : 구나연 “구타이 미술과 일본 전후 모더니티의 경험”
김자현 “日本 南禪寺 소장 『御製秘藏詮』의 「御製佛賦 ▪ 御製詮源歌」 연구”
김현화 “민중미술: 리얼리즘을 위한 변명, 바타이유와 루카치 사상과 접목 고찰”
이송란 “백제 미륵사지 서탑 유리제사리병과 고대 동아시아 유리 제작”
김혜원 “류살하(劉薩河) 설화와 관련 조상(造像)에 대한 일고(一考)”
▪ 제43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 2010년 10월 16일 (토요일) 오후 1시 ~ 6시 20분
장소 : 홍익대학교 정보통신센터 (Q동) 501호 국제회의실
발표 : 박소희 “드로잉 개념으로 본 앙리 마티스 작업의 상징주의 미학”
이선미 “'yBa'의 등장과 국제적 부상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전한호 “이상과 현실 사이 : 1430년대 독일 회화에 나타난 사실성에 대한 고찰”
신상철 “미술시장과 새로운 취향의 형성관계 : 18세기 로코코 예술에 나타난 쉬누아즈리(Chinoiseries) 양식”
▪ 제21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 재료와 제작기법으로 보는 미술사일시 : 2010년 5월 1일 (토) 오전 10시 - 오후 6시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발표 : 정은우 “여말선초 소금동불의 유행과 제작기법의 변화” (질의:임남수)
박경자 “조선전기 공납용 백자제작과 분청사기 양식변화” (질의:박형순)
이수미 “조선시대 초상화 초본의 형식과 그 표현기법” (질의:윤진영)
강민기 “동양화의 근대적 모색: 한국적 기법과 일본적 기법의 경계” (질의:권행가)
김정락 “조반니 바티스타 피라네시의 델라 만니피첸차: 고대 로마건축 기술에 대한
열망과 환상 그리고 공포” (질의:조은정)
우정아 “로버트 어윈 - 지각과 테크놀로지의 예술” (질의:진휘연)
▪ 제42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 2010년 3월 20일 (토) 오후 1시 - 5시 40분
장소 : 홍익대학교 정보통신센터 (Q동) 501호 국제회의실
발표 : 박파랑 "동양화단의 추상 - 1960년대 묵림회를 중심으로"
김윤경 "요셉 보이스의 <무제 - 태양의 나라>(1974) 연구"
진준현 "조선 초기, 중기의 실경산수화"
최선일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목조보살입상과 조각승 영색"
이은기 "중세말 지옥의 광경 - 14세기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 제41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 2009년 10월 17일 (토) 오후 1시 30분 - 5시 20분
장소 : 홍익대학교 정보통신센터 (Q동) 501호 국제회의실
발표 : 우주옥 "고려시대 密敎儀式과 線刻佛像鏡"
최성희 "침묵의 기념물 - 베를린 홀로코스트 기념관"
이희관 "越窯 秘色瓷의 展開와 匣鉢"
송혜영 "요셉 보이스의 <20세기 종말>"
▪ 제20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 종교미술과 사회변동
일시 : 2009년 5월 9일 (토) 오전10시 - 오후5시10분
장소 : 국립고궁박물관 지하 1층 강당
발표 : 양은경 "梁 武帝 시기 불교미술과 사회변화" (질의:김혜원)
강병희 "고려 전기 사회변동과 불탑: 11,12세기 불탑의 북방적 요소" (질의:엄기표)
양정무 " ‘과시적 소비’ 또는 르네상스 종교미술" (질의:전동호)
신광희 "朝鮮朝 明宗代의 社會變動과 佛畵" (질의:이승희)
고종희 "가톨릭개혁 미술과 바로크 양식의 탄생" (질의:김정락)
조인수 "중국 원명대의 사회변동과 도교 신선도" (질의:박은화)
▪ 제40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 2009년 3월 14일 (토) 오후2시 - 5시20분장소 : 덕성여대 운니동캠퍼스 평생교육원 D406호
발표 : 신숙 "統一新羅와 唐의 銜鳥文 比較硏究"
박화선 "다비드 회화의 여성 이미지와 프랑스혁명기 평등의 이상"
정연심 "Lee Bontecou : Rediscovering a Forgotten Artist"
조규희 "題品과 酬唱 : 명종과 1560년대 조선 실경산수화의 회화사적 성취"
▪ 제39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2008년 10월 11일 (토) 오후2시 - 5시20분
장소:덕성여자대학교 운니동캠퍼스 평생교육원 D406호
발표 : 유주희 "조선 중·후기 圍棋圖의 유형과 특징"
정석범 "康雍乾시대 大一統정책과 시각 이미지"
정무정 "미니멀리즘과 베트남전쟁"
주경미 "中國 中世의 佛舍利 再埋納과 莊嚴方式 고찰- 宋代 靜志寺塔 地宮 出土品을 중심으로"
▪ 제19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 미술과 정치
일시: 2008년 5월 10일 (토) 오전10시 - 오후6시
장소: 국립고궁박물관 지하1층 강당
발표 : 이강근 "조선왕조의 궁궐 건축과 정치" (질의:주수완)
조은정 "베르기나 대봉분과 마케도니아 왕조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질의:김정락)
장진성 "天下太平의 이상과 현실:<康熙帝南巡圖卷>의 정치적 성격" (질의:이주현)
김진아 "1960년대 말 정치적 격변 속에서- 치카노 벽화운동" (질의:김희영)
방병선 "皇帝·文人·景德鎭 - 明末淸朝中國靑花白瓷硏究" (질의:이종민)
윤범모 "근대기의 미술과 정치 : 李快大를 중심으로" (질의:김용철)
김향숙 "통일의 굴곡에 투영된 독일 현대미술과 정치의 헤게모니" (질의:김재원)
▪ 제38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2008년 3월 29일 (토) 오후2시 - 5시20분
장소: 덕성여자대학교 운니동캠퍼스 평생교육원 D 406호
발표 : 김현아 "고려시대 瓷器盤口長頸甁의 소비성향과 의의"
신상철 "19세기 말 프랑스 박물관 역사와 아시아 콜렉션 : 동양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정립"
강희정 " ‘석굴’ 패러다임과 석굴암"
배영일 : "고려시대 사경변상도의 도상과 양식변천 - 화엄경과 법화경을 중심으로"
▪ 제37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7년 10월 13일 (토) 오후2시 - 5시30분
장소: 덕성여자대학교 대강의동 2층 205호
발표: 이진희 "조선시대 서화의 장황 형식 및 용어 연구"
안성희 "16-17세기 조선 陶瓷祭器의 변화양상과 그 배경"
송은석 "17세기 조각승 유파 간 합동 작업의 양상"
신준형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상 이론; Icon, Index, Islam"
▪ 제18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미술사와 공예
일시: 2007년 5월 12일 (토) 오전 9시 50분-오후 5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문화관 소극장
발표: 정무정 “미술과 공예 : 그 경계와 위상” (질의: 김정락)
이영희 “금속공예 연구의 현황과 전망” (질의: 이송란)
장남원 “도자사 연구에서 수용의 문제” (질의: 김윤정)
이종민 “조선시대 백자 연구에서 인식과 서술의 문제” (질의: 한성욱)
이인범 “한국 공예사 연구의 미학예술학적 문제” (질의: 목수현)
최공호 “한국 공예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질의: 주경미)
▪ 제36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2007년 3월 17일 (토) 오후 2-5시 30분
장소: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행정동 5층 강당
발표: 김영남 “기무라겐카도(木村▪ 堂: 1736~1802)의 繪畵 硏究”
이한순 “17세기 네덜란드의 초상화에 나타난 직업의식: 렘브란트의 그룹초상화를 중심으로”
박정민 “14世紀前半 象嵌靑瓷의 새로운 변화”
신지영 “19세기 유토피아 사상과 영국의 예술과 도시”
▪ 제35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6년 10월 21일 (토) 오후 2-5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신세계관 101호
발표: 박효은 “石濤의 1696年作 《淸湘書畵稿》에 구현된 詩畵의 경계”
서영희 “누보레알리즘과 쉬포르/쉬르파스”
정신옥 “11세기말-12세기전반 高麗靑瓷에 보이는 中國陶瓷의 영향”
이주은 “19세기 영국 유미주의 회화의 대중문화적 특성”
▪ 제17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미술사와 鑑識
일시: 2006년 5월 20일 (토) 오전 10시-오후 5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B153호
발표: 조은정 “고전조각에서의 원본과 복제” (질의: 전선자)
김주삼 “회화의 재질 및 기법 조사 방법” (질의: 김현숙)
김규호 “과학의 눈으로 본 미술품의 접근과 이해” (질의: 최응천)
조인수 ““망기(望氣)” 또는 “블링크(Blink)”: 중국 서화 감정의 전통” (질의: 박은화)
최공호 “한국 공예 감식의 변천: 문방청완의 향유와 眼法” (질의: 이송란)
▪ 제34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2006년 3월 18일 (토) 오후 2-5시 30분
장소: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강당 1층 100명 강의실
발표: 신선영 “箕山 金俊根 風俗畵에 관한 硏究”
양은경 “甘肅省 金塔寺石窟의 개착년대와 北凉 불교와의 관계”
김소연 “한국 근대 여성의 서화교육과 작가활동 연구”
김정락 ““Architecture terrible”과 “Gothic revival”: 건축에 대한 문학과 심리학적감수성”
▪ 제33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5년 10월 8일 (토) 오후 2-5시 30분
장소: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행정동 5층 강당
발표: 강희정 “唐代 菩薩像의 女性的 이미지와 그 정체성”
조은정 “고대 극장의 무대: 스케노그라피아(Scaenographia) 다시 읽기”
강경인 “조선전기 ‘연질백자(軟質白磁)’ 제작기술에 대한 과학적 연구”
이지은 “시각문화연구와 미술사: 시각성과 이미지의 문제를 중심으로”
▪ 제16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미술사와 교재
일시: 2005년 5월 14일 (토)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B153호
발표: 이주형 “불교 조각사와 교재” (질의: 정우택)
이은기 “우리의 서양미술사 개론서 어떻게 가능한가” (질의: 송혜영)
윤용이 “도자사와 교재” (질의: 장남원)
조은영 “현대미술사 교재의 다양화를 위한 대안적 모색” (질의: 강태희)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와 교재” (질의: 김홍남)
김미경 “한국현대미술사와 한국의 미술사학 교육” (질의: 김이순)
▪ 제32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2005년 4월 2일 (토) 오후 1시 30분-6시
장소: 덕성여자대학교 대강의동 205호
발표: 강영주 “운미 민영익의 생애와 회화 연구”
송남실 “라파엘전파 종교화에 관한 연구”
윤진영 “16세기 계회도에 나타난 산수화 양식의 특징과 변화”
송미숙 “로댕과 우골리노”
▪ 제31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4년 10월 2일 (토) 오후 1시 30분-5시 10분
장소: 부산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내 교수회관 영상강의실 204호
발표: 김정락 “성모의 애가와 그리스도의 육화”
김현권 “추사 김정희의 묵란화”
김향숙 “추의 미학, 추의 형상: 추의 미학의 과점으로 바라본 바젤리츠의 추의형상”
정은우 “고려후기 보명사 금강보살좌상 연구”
▪ 제15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미술사와 교육일시: 2004년 5월 15일 (토)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B153호
발표: 정헌이 “미술사 교육에 있어서 민족주의와 젠더” (질의: 김홍희)
문정희 “중국 근대 교육과 미술사” (질의: 정형민)
박남희 “한국의 지방 미술대학에서 실기교육에 대한 미술사 교육의 입지와 역할” (질의: 김동철)
박은경 “답사와 미술사 교육” (질의: 김춘실)
김형숙 “미술사 교육의 전통과 담론들” (질의: 최은주)
방병선 “미술작품 ‘무엇’으로 ‘어떻게’ 제작되었을까-그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론” (질의: 이강근)
▪ 제30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2004년 4월 10일 (토) 오후 1시 30분-6시
장소: 한성대학교 미래관 B102호 Digital Learning Center
발표: 신준형 “Spiritus in materiam revelatus: 생 드니 교회와 고딕 양식의 탄생에 대한 파노프스키의 신화”
황규성 “조선시대 三世佛會圖에 관한 연구”
진휘연 “개념미술의 두 얼굴: 탈자본주의의 한계와 비상업적 미술”
이종민 “11-12세기 粗質靑磁의 형성과 변천”
▪ 제29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3년 11월 15일 (토) 오후 1시 30분-6시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B153호
발표: 김선정 “조선후기 百子圖 연구”
전경희 “쿠르베와 쇠라의 회화에 나타난 사회적 분리와 통합”
조은영 “미국 북서파와 동아시아 예술·사상: 해석과 차용”
김이순 “1950-60년대 한국의 용접 조각”
▪ 제14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미술사와 언어
일시: 2003년 5월 17일 (토) 오전 10시-오후 5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삼성교육문화관 대강당
발표: 정무정 “전후 추상미술계의 에스페란토, ‘앵포르멜’ 개념의 형성과 전개”(질의: 조은영)
오진경 “1950-1960년대 뉴리얼리즘 계열 미술동향 명칭에 관한 고찰”(질의: 김미경)
문정희 “중국 寫實主義와 ‘寫實’” (질의: 정형민)
최공호 “‘工藝’ 용어의 근대적 개념 전개” (질의: 이송란)
정우택 “불교미술 서술의 용어 문제” (질의: 박은경)
▪ 제28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2년 11월 2일 (토) 오후 2-5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시청각실
발표: 이난희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중요문화재 毛利家傳來 高麗螺鈿菊花文經函에 관한 연구”
전영백 “영국의 형식주의 비평과 블룸즈버리(Bloomsbury) 그룹의 모더니즘 작품 연구”
송혜영 “콘라드 피들러(Conrad Fiedler, 1841-1895)의 조형예술론”
▪ 제27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2002년 5월 4일 (토) 오후 2-5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삼성교육문화관 소강당
발표: 김상엽 “小癡 許鍊 관계 신자료의 회화사적 의의”
최성희 “19세기 平生圖 연구”
김미경 “한국 현대미술 略史(1960-70년대)-meta critic의 의미”
▪ 제26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1년 11월 10일 (토) 오후 2-5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시청각실
발표: 선승혜 “동아시아 회화에 있어서 桃源圖 연구”
김향숙 “19세기 프랑스 회화에 나타난 하렘 모티프”
임세권 “階段式 積石塔의 구조와 연대”
▪ 제13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동·서양의 ICON: 의미와 기능
일시: 2001년 4월 21일 (토) 오전 10시 30분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강당
발표: 고종희 “그리스도교 이콘의 기원과 변천” (질의: 송혜영)
정헌이 “그리드를 넘어서: 모더니즘 이후의 ‘아이콘’” (질의: 진휘연)
이주형 “인도 초기불교미술의 불상관” (질의: 김리나)
조인수 “도교 신선화의 도상적 기능” (질의: 박은순)
강관식 “조선시대 초상화의 도상과 심상” (질의: 이태호)
▪ 제25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2000년 10월 21일 (토) 오후 2시
장소: 서울대학교 인문관 8동 102호
발표: 진준현 “잊혀진 문인 화가 근재 유신”
한정희 “17, 18세기 한·중·일의 실경 산수화”
양정무 “풍경화의 모순, 현대미술사학의 위기▪ : 컨스터블 회화의 해석 논쟁”
▪ 제24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2000년 4월 29일 (토) 오후 2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조형대학관 518호
발표: 마순자 “17세기 네덜란드 화가의 사회적 신분”
박은화 “明代의 직업문인화가 唐寅의 書畵”
이태호 “조선시대의 화원신분-화원 김홍도 사례를 중심으로-”
▪ 제23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9년 11월 13일 (토) 오후 2시
장소: 홍익대학교 조형관 103호
발표: 김지혜 “金玄成讚 瀟湘八景圖와 16世紀 瀟湘八景圖”
윤익영 “아비뇽의 아가씨들: 양식의 기원과 탄생”
▪ 제12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도시와 미술
일시: 1999년 6월 5일 (토) 오전 10시-오후6시
장소: 경주 교육문화회관 거문고홀
발표: 김현화 “라데팡스(La D▪ fense)와 현대미술” (질의: 김혜주)
이은기 “르네상스 광장과 미술, 그리고 정치이념:14~16세기 이탈리아를 중심으로”(질의: 고종희)
허영환 “揚州와 揚州미술: 淸代 18世紀前後 繪畵를 중심으로” (질의: 한정희)
竝木誠士 “靈地에서 天下로: 洛中洛外圖의 成立과 그 機能” (질의: 이중희)
박방룡 “新羅 王京의 寺刹造營” (질의: 이강근)
▪ 제22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8년 10월 10일 (토) 오후 2시
장소: 숙명여자대학교 본관 대회의실
발표: 이예성 “沈師正의 山水畵 연구”
백내승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그림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 제21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98년 6월 13일 (토) 오후 2시 30분
장소: 숙명여자대학교 본관 대회의실
발표: 이강근 “한국 古代 佛殿建築의 莊嚴法式에 대한 연구”
진휘연 “추상표현주의의 후기 식민주의적 존재성-모더니즘 논쟁과 콜로니얼리즘”
▪ 제20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7년 11월 29일 (토) 오후 2시
장소: 숙명여자대학교 서관 520호
발표: 김수경 “조선 褓의 기능과 가치”
박도화 “目連經의 성립경위와 版畵의 圖像”
▪ 제11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동서문화교섭과 미술사
일시: 1997년 6월 14일 (토) 오전 10시 30분-오후 5시
장소: 성신여자대학교 수정관 소강당
발표: 박은순 “조선후기 서양투시도법의 영향과 화풍의 변화” (지정토론: 김홍남)
임영애 “서역조각을 통해 본 동서미술교류” (지정토론: 문명대)
최공호 “서구 산업 문명의 유입과 공예관의 변모” (지정토론: 강경숙)
김영나 “전후 20년의 동서문화교섭: 미국과 동아시아 미술에 나타난 선적추상의 현상” (지정토론: 강태희)
▪ 제19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6년 10월 26일 (토) 오후 2시
장소: 동국대학교 문화예술관 세미나실
발표: 이한순 “루터와 크라나흐의 프로테스탄트 도상학”
강경숙 “「世宗實錄地理誌」瓷器所의 瓷器特徵-경기도·충청도 가마터를 중심으로”
▪ 제10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미술문화와 미술사
일시: 1996년 6월 8일 (토) 오전 9시 30분-오후 5시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강당
발표: 문명대 “인문과학과 미술사” (논평: 권영필)
이은기 “미술실기 교육과 미술사” (논평: 이성미)
유홍준 “미술비평과 미술사” (논평: 윤난지)
허영환 “미술문화행정과 미술사” (논평: 김재열)
한문영 “미술출판과 미술사” (논평: 홍선표)
▪ 제18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96년 4월 6일 (토) 오후 2-5시
장소: 동국대학교 학술문화관 K308
발표: 이성미 “朝鮮시대 御眞畵師 選定 기준과 보수”
김이순 “페미니즘적 미술사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Block誌를 중심으로”
▪ 제17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5년 10월 21일 (토) 오후 2-5시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강당
발표: 이주형 “간다라 미술과 대승불교”
김현화 “Nicolas Schoffer의 기념비적 미술품이 되는 건축과 도시계획”
▪ 제9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동양근대미술-그 변화와 전개
일시: 1995년 6월 10일 (토) 오전 9시-오후 5시 40분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1층 강당
발표: 이성미 “총론: 동양근대미술의 제문제” (논평: 김홍남)
김정동 “식민지 시대의 동양건축” (논평: 김성우)
한정희 “중국근대회화의 성격” (논평: 박은화)
야마나시 에미꼬 “구로다 세이키의 동경미술학교의 양화교육” (논평: 김영나)
▪ 제16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95년 4월 8일 (토) 오후 2-5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515호
발표: 신지용 “닫집에 관한 연구”
박성은 “화가 얀-반-아이크(Jan-Van-Eyck)와 사실주의 풍경화”
▪ 제15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4년 10월 15일 (토) 오후 2-5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강당
발표: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오진경 “막스 에른스트의 프로타쥬(frottages)의 방법적 특성”
▪ 제8회 전국학술대회
주제: 한국근대미술(20세기 전반)의 특성과 변모
일시: 1994년 5월 14일 (토) 오전 10시-오후 6시
장소: 홍익대학교 와우관 세미나실
발표: 윤범모 “총론: 근대미술의 개념” (토론: 안휘준)
허영환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수묵화” (토론: 이성미)
정영목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유화” (토론: 김현숙)
김영나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조각” (토론: 오광수)
최공호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공예” (토론: 강경숙)
▪ 제14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3년 11월 6일 (토) 오후 2시 30분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대강당
발표: 김혜주 “조형요소로서의 얼룩에 관한 고찰”
진준현 “서울대 박물관 소장 회화자료에 관하여”
▪ 제7회 전국학술대회
(한국정신문화연구원과 공동주최)
주제: 미술사와 문화행정
일시: 1993년 6월 12일 (토) 오전 10시 30분-오후 6시
장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대강당 1층 100명 강의실
발표: 허영환 “한국 국공립문화기관의 미술사와 문화행정” (논평: 권영필)
이종선 “한국 사립문화기관의 미술사와 문화행정” (논평: 김쾌정)
오노 이쿠히코 “일본의 미술사교육과 문화행정” (논평: 김영나)
정영목 “미국의 미술사와 문화정책-20세기 미술문화에 나타난 미국적 특성과 성격-" (논평: 김홍남)
김리나 “미술사와 한국문화의 해외소개” (논평: 박정엽)
▪ 초청강연회
(USIS, Seoul American Center와 공동주최)
일시: 1993년 4월 13일 (화) 오후 5시
장소: 서울 아메리칸 센터 강당
발표: 루이스 케이쳐 “미국 모더니즘 미술의 선구적 화가 스튜어트 데이비스의 미술에 있어서의 문자와 언어의 의미”
▪ 제13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93년 4월 10일 (토) 오후 2시 30분
장소: 동국대학교 동국관 L101호
발표: 박진선 “Annibale Carracci의 <聖Rocco의 慈善>”
정형민 “米家山水畵風의 傳來-朝鮮中期 畵壇을 中心으로-”
▪ 제12회 추계학술발표회
(호암미술관과 공동주최)
일시: 1992년 11월 7일 (토) 오후 2시
장소: 동방프라자 1층 국제회의실
발표: 한정희 “松江派의 繪畵理論과 實際” (논평: 박은화)
김홍남 “17世紀 中國繪畵의 社會的 考察” (논평: 이성미)
▪ 제6회 전국학술대회(학술발표회)
주제: 미술사와 박물관
일시: 1992년 6월 13일 (토)
장소: 충북대학교 경영대학 합동강의실
발표: 이난영 “미술사와 박물관학” (논평: 권영필)
김홍남 “미술사와 미술관” (논평: 김영나)
윤범모 “미술사와 화랑” (논평: 허영환)
문명대 “미술사와 학예직” (논평: 이성미)
▪ 제11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92년 4월 18일 (토) 오후 2시 30분
장소: 동국대학교 동국관 L101호
발표: 강민기 “1920년대의 한국동양화단의 일본화풍”
이홍복 “서양회화에 있어서 현대의 기점-F. Goya와 C.D. Friedrich를 중심으로-”
▪ 제10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1년 11월 9일 (토) 오후 2시 30분
장소: 홍익대학교 와우관 2층 세미나실
발표: 정무정 “Frank Stella의 1960년대 작품연구”
김영나 “1930년대 동경유학생들: 전위그룹전의 활동을 중심으로”
▪ 제5회 전국학술대회(학술발표회)
주제: 한국 현대미술의 전통과 창작
일시: 1991년 6월 22일 (토)
장소: 홍익대학교 와우관 2층 세미나실
발표: 안휘준 “한국 현대미술의 과제” (약정토론: 정양모, 이구열)
유홍준 “한국 현대회화의 전통과 창작” (약정토론: 권영필, 이만익)
김복영 “한국 현대조각의 전통과 창작” (약정토론: 유재길, 이용준)
최건 “한국 현대공예의 전통과 창작” (약정토론: 윤광조, 김덕경)
김성우 “한국 현대건축의 전통과 창작” (약정토론: 김동욱, 김원)
▪ 제9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90년 11월 17일 (토) 오후 2시 30분-5시
장소: 홍익대학교 와우관 2층 세미나실
발표: 권영필 “실크로드繪畵의 明暗法”
정우택 “在日 고려佛畵의 新資料”
▪ 제4회 전국학술대회(학술발표회)
주제: 미술사와 비평
일시: 1990년 6월 16일 (토)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515호
발표: 변영섭 “한국회화사와 비평” (약정토론: 김리나, 문명대, 유준영)
한정희 “중국의 회화비평” (약정토론: 권영필, 이성미, 허영환)
정영목 “서양미술사와 비평, 1500~1900” (약정토론: 김영나, 오경환, 이은기)
김인환 “현대미술과 비평” (약정토론: 김서봉, 이일)
▪ 제8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90년 5월 12일 (토) 오후 2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515호
발표: 김춘실 “三國時代 通印如來坐像考”
한재수 “朝鮮時代 營造活動의 制度的 背景에 관한 연구”
▪ 제7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89년 11월 18일 (토) 오후 2시 30분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515호
발표: 김수경 “안토니오 베리오의 버글리하우스 천정벽화(1681~1700)”
김정희·안귀숙 “十王圖의 圖像的 特徵과 形式”
▪ 제3회 전국학술대회(학술발표회)
주제: 미술사와 문화재
일시: 1989년 6월 10일 (토)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사회교육관 제1강의실
발표: 문명대 “미술사와 문화재”
정재훈 “남북한 문화재관리정책의 비교”
김동현 “일본의 문화재정책”
최무장 “중국의 문화재정책”
백승길 “유럽의 문화재정책”
백충현 “문화재 반출입의 국제법적 규제”
약정토론: 강우방, 고수길, 김영나, 유준영, 이성미, 임효재, 장경호
정양모, 정태진, 조유전, 지건길, 한병삼, 허영환
▪ 제6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89년 4월 1일 (토) 오후 2시
장소: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회의실
발표: 유홍준 “남태응의 “청죽화사”에 대하여”
정영목 “Max Beckman의 초기 종교화와 종교사상”
▪ 제5회 동계학술발표회
일시: 1988년 12월 3일 (토) 오후 2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515호
발표: 유준영 “동서양 先形象 이론 비교”
송남실 ““Jugendstil”에 있어서 “근대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이 끼친 영향”
▪ 제4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88년 10월 15일 (토) 오후 2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515호
발표: 김창균 “高麗時代 高杯形銀入絲香▪ 의 考察”
유재길 “테크로로지 美術과 그룹활동-1960년대 유럽을 중심으로”
▪ 제2회 전국학술대회(학술발표회)
주제: 한국 대학미술교육의 제문제
일시: 1988년 6월 18일 (토)
장소: 덕성여자대학교 미술관 L303호
발표: 안휘준 “한국 대학미술교육의 기본방향” (약정토론: 강경숙, 문명대, 이성미)
김정 “실기교육과 이론교육” (약정토론: 김봉태, 송수남, 오경환, 최만린)
허영환 “미술교육과 미술사” (약정토론: 김리나, 변영섭, 유준영)
오병남 “미술교육과 미학” (약정토론: 권영필, 김문환, 이종성, 한운성)
유홍준 “미술교육과 평론” (약정토론: 김영나, 오광수, 이구열, 이태호)
▪ 제3회 춘계학술발표회
일시: 1988년 3월 19일 (토) 오후 2시
장소: 동국대학교 박물관 세미나실
발표: 최순택 “石濤의 羅浮山畵帖”
마순자 “畵家의 “아뜰리에 모습”; 17세기 네델란드의 例”
▪ 제2회 동계학술발표회
일시: 1987년 12월 5일 (토) 오후 2시
장소: 홍익대학교 와우관 2층 대회의실
발표: 정우택 “高麗佛畵의 三尊圖像”
김이순 “폴▪ 고갱; 부르타뉴時期의 綜合主義”
▪ 제1회 추계학술발표회
일시: 1987년 10월 31일 (토) 오후 2시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515호
발표: 이성미 “歐美 美術史學界에 있어서의 東洋美術史硏究의 動向”
이은기 “이태리에 있어서의 美術史學 硏究近況”
▪ 제1회 전국학술대회(학술발표회)
주제: 美術史敎育의 現況과 展望
일시: 1987년 6월 13일 (토)
장소: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회의실
발표: 문명대 “한국의 미술사학과 미술사교육” (약정토론: 강경숙, 김리나, 허영환)
김영나 “미국의 미술사학과 미술사교육” (약정토론: 김홍남, 윤용이)
권영필 “독일의 미술사학과 미술사교육” (약정토론: 박래경, 유준영, 최순택)
임영방 “프랑스의 미술사학과 미술사교육” (약정토론: 이은기, 이태호)